USB (Universal Serial Bus : 범용 직렬 버스) 규격이 등장하기 전의 PC에서는, 접속하는 기기마다 포트나 커넥터의 형상이 달랐습니다. 예를 들어, 마우스나 키보드라면 「PS/2 커넥터」, 하드 디스크나 스캐너 등을 연결하는 「SCSI」, 프린터 등에 사용하는 「IEEE 1284」, 모뎀 접속에 사용하는 「RS-232」, USB와 비슷한 시기에 등장하고 훨씬 진보된 규격이었지만 비싸고 호환성이 떨어졌던 「IEEE1394(Firewire)」 등등... 규격이 난립하다가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주변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통일 규격」으로서 USB 규격이 탄생하였고,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진화를 이루어 왔습니다. 같은 USB라도 다양한 규격이 있어, 커넥터 형상이 달라집니다.
목차
USB 표준의 종류
USB 전송 속도
USB PD (USB Power Delivery)
USB 표준의 종류
키보드나 마우스, USB메모리 등의 접속에 사용되는 「USB Type-A」, 프린터 등의 대형 주변기기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 「USB Type-B」, 그리고 Android의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었던 「Micro-USB」 등이 존재합니다. 2014년에는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USB Type-C도 등장했습니다. 여러가지 USB 규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USB 1.1
직사각형 모양의 USB 커넥터이며 전송 속도는 최대 12Mbps입니다. Type-C 등장 전의 USB라고 하면 이 형태의 커넥터가 대표적이었습니다. USB 1.1 커넥터에 USB Type-A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하위 호환이므로 전송 속도는 최대 12Mbps 까지입니다.
USB Type-A (USB 2.0/USB 3.0)
USB 1.1과 마찬가지로 평평한 직사각형 모양의 USB Type-A커넥터입니다. USB Type-A 커넥터는 USB 2.0 및 USB 3.0을 지원합니다. USB 2.0의 전송 속도는 최대 480Mbps, USB 3.0의 전송 속도는 5Gbps입니다. 전력 공급은 보통 USB 2.0은 2.5W (5V, 500mA / 대부분 컴퓨터의 USB 포트), USB 3.0은 4.5W (5V, 900mA / 3.2 듀얼레인)입니다.
USB Type-B (USB 2.0)
사다리꼴 모양을 하고 있는 커넥터인 USB Type-B (USB 2.0)입니다. 복합기, 프린터, 스캐너 등에 채용되고 있는 규격입니다. PC 본체가 아닌, 디바이스 측에 이 커넥터가 채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한쪽이 USB Type-A(USB 2.0), 반대쪽이 USB Type-B(USB 2.0)인 케이블을 사용해, PC와 프린터를 접속합니다. 전송 속도는 최대 480Mbps입니다.
USB Type-B (USB 3.0)
USB Type-B (USB 2.0)의 커넥터 위에, 한층 더 커넥터가 붙은, 2층 구조의 커넥터인 USB Type-B (USB 3.0)입니다. 모양이 다르기 때문에 USB Type-B (USB 2.0)와 호환되지 않습니다. 웹카메라, 외장 블루레이 드라이브, 고화질 캠코더 등의 주변 기기에 채용되고 있는 규격입니다. 전송 속도는 최대 5Gbps입니다.
USB mini-B
사다리꼴 모양의 커넥터인 USB mini B입니다. mini USB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커넥터가 작기 때문에 2000년대 디지털카메라나 MP3 플레이어 등에 사용되었던 규격입니다. 그러나, 빼고 꽂는 것을 반복하면 망가지는 내구성의 문제가 있어, 후속인 Micro-USB로 대체되었습니다. 전송 속도는 USB 2.0이므로 최대 480Mbps입니다.
USB micro-B (USB 2.0)
USB micro-B입니다. micro USB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010년대 휴대전화에 사용되었던 표준으로 작은 커넥터라서 편리하지만, 상하 구분이 있어서 한 번에 꽂기가 불편하고 고장 문제도 여전했습니다. 전송 속도는 USB 2.0이므로 최대 480Mbps입니다.
USB micro-B (USB 3.0/3.1/3.2)
USB 3.0/3.1/3.2에 대응하는 Micro-B 커넥터이며, 주로 외장 HDD의 연결에 쓰였습니다. 전송 속도는 5Gbps이며, 10Gbps인 경우도 있습니다.
USB Type-C (USB 3.1/3.2)
평평하고 타원형 모양의 커넥터인 USB Type-C입니다. 지금까지의 커넥터와 달리, 상하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탈착이 편리합니다. 기존과 달리 양방향 C타입 위주로 통일해 점유율을 늘리고 있으며,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및 디스플레이, 충전을 지원해 많은 기기의 표준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전송 속도는 USB 3.1 (USB 3.1 Gen2)은 최대 10Gbps, 후속 규격인 USB 3.2 (USB 3.2 Gen 2x2)는 20Gbps입니다. 2019년 같은 Type-C로 USB4 규격이 등장했지만 네이밍이 난잡하고 혼란스러워져서 속도 표기로 변경하게 됩니다.
Apple Lightning 8-pin
"Lightning"은 Apple이 개발한 표준입니다. USB 단자와 접속 가능한 규격이지만, 정확하게는 USB 규격이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Apple의 제품에만 채용되며, iPhone5부터 iPhone14까지 채용되고 있습니다. 출시 예정인 iPhone15에는 Type-C로 탑재된다고 합니다. 커넥터 부분에 상하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편리하지만 MFi (Made for iPhone/iPad/iPod) 규격 케이블은 USB 케이블에 비해 가격이 높습니다. 전송 속도에 대해서는 공표되어 있지 않지만, USB 2.0 기반이므로 최대 480Mbps입니다. PD 충전 규격은 전송 속도와는 별개입니다.
USB 규격 표기의 변경과 전송 속도
2022년 9월 30일, USB Implementers Forum에서 USB의 규격을 나타내는 로고·표기 가이드라인의 개정이 발표되었습니다.
새로운 표기 | 기존 표기 | 최대 전송 속도 |
USB1.1 | USB1.1 | 12Mbps |
USB2.0 | USB2.0 | 480Mbps |
USB 5Gbps | USB3.2 (Gen1) | 5Gbps |
USB3.1 (Gen1) | ||
USB3.0 | ||
USB 10Gbps | USB3.2 (Gen2) | 10Gbps |
USB3.1 (Gen2) | ||
USB3.2 (Gen 1x2) | ||
USB 20Gbps | USB3.2 (Gen 2x2) | 20Gbps |
USB 40Gbps | USB4 (Ver.1) | 40Gbps |
USB Power Delivery (PD)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존 USB의 5V 전압으로는 충전 시간이나 용량이 부족하게 되었습니다. 고속 고출력에 대응하는 새로운 충전 규격이 생겼고 대응하는 디바이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USB-Power Delivery(PD)는 USB-C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고속 충전 기술입니다. 특정 Apple 및 Android 스마트폰/태블릿과 다양한 노트북 브랜드는 표준 충전 방법보다 훨씬 더 높은 성능을 제공하는 기술을 지원합니다
사양 | 최대전압 | 최대전류 | 최대출력 |
USB 2.0 | 5V | 500mA | 2.5W |
USB 3.0 / USB3.1 | 5V | 900mA | 4.5W |
USB Battery Charging (BC) 1.2 | 5V | 1.5A | 7.5W |
USB-C Current Mode (non-PD) | 5V | 3A | 15W |
USB-C Power Delivery (PD) | 48V | 5A | 240W |
'이것 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MI의 버전 별 차이와 HDMI ARC (5) | 2024.01.06 |
---|---|
万国衣装鑑 (만국의상감) - 고바야시 기요치카 1882 (0) | 2023.11.08 |
비즈니스에서 필요한 4가지 기술 (0) | 2023.08.08 |
메모의 습관화 (0) | 2023.07.24 |
인생의 세 가지 리소스 (돈, 시간, 능력)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