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빅테크3

빅테크의 승자독식 「매그니피센트 7 (Magnificent 7)」 투자의 기본은 다양한 자산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라고 흔히들 말합니다. 국내에도 S&P 500 지수 등에 연동되는 인덱스 투자가 인기입니다. 다만 올해 미국 증시에서는 구글, 애플, 아마존, 메타의 4개사에 마이크로소프트, 테슬라, 엔비디아를 더한 「매그니피센트 7 (Magnificent 7)」 기업의 호조가 두드러졌습니다. 분산투자의 우위성이 크게 흔들리게 되었습니다. 「 매그니피센트 7 」은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7인의 사무라이」를 서부극으로 리메이크한 미국 영화 제목을 딴 호칭입니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의 전략가가 올해 고안했다고 합니다. 매그니피센트 7(기업) - 나무위키 이 저작물은 CC BY-NC-SA 2.0 KR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라이선스가 명시된 일부 문서 및 삽화 제외).. 2023. 12. 23.
다음 시총 1조 달러 기업은? S&P500은 유명 상표 GAFAM 5 종목이 전체 시가 총액의 20% 이상 차지합니다. 여기에 NDIVIA와 테슬라가 더해져 S&P7이라 불리기도 합니다. 2023년 7월 현재 시총 1조 달러 이상인 기업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알파벳), 아마존, 엔비디아 5 종목이며, 메타와 테슬라가 다음 1조 달러 후보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7 종목입니다. 이렇게 시총이 큰 종목이 늘어나서 나중에는 다우공업 30 지수 비슷하게 S&P30 같은 게 나올지도 모릅니다. 향후 S&P500 지수가 장기적으로 어떻게 상승하는지 생각해 보면, S&P500 종목 중에서도, 시가 총액 1조 달러를 목표로 하는 종목이 늘어나는 것으로 S&P500 지수의 상승을 견인해 갈 것으로 보입니다. S&P500 지수는 다.. 2023. 7. 17.
닷컴 버블을 이은 디지털 혁명 (빅테크)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을 지난 20년간 보유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생각합니다. 2000년 닷컴 버블이 터졌을 당시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의 잉여 재고를 바라보고 있으면, 이 3개 종목을 보유할 용기가 없었을 것입니다. 애플(AAPL)은 PC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에 패했지만, 스마트폰으로 복귀했으며, PC 분야의 점유율도 다시 늘리고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게임, 스마트폰 사업에서 실패했지만, 구독 서비스와 클라우드로 복귀했습니다. 아마존(AMZN)은 온라인 소매 사업에서 만년 적자였지만, 온라인 유통 부동의 강자가 되었으며, 클라우드 사업으로 승승장구하고 있습니다. 투자 대상 기업이 20년 후 어떻게 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클라우드 사업에 앞장서 있던 세일즈포스(CRM)가 클라우드.. 2023. 7. 7.
반응형